개설과목
- PHY501 고전역학 (3학점) [기초공통]
- 기초원리, 변분원리와 Lagrange방정식, 이체문제, 강체역학, 특수상대론.
- PHY502 수리물리학 (3학점) [기초공통]
- 벡터 및 행렬, 해석함수, 함수공간 및 직교함수, 미분방정식, 특수함수, 적분변환.
- PHY503 고전전자기학I (3학점) [기초공통]
- 정전기장, Multipoles, 전자기장, Maxwell방정식, 전자기파.
- PHY504 고전전자기학II (3학점) [기초공통]
- 전자기파의 발생, 회절 및 산란, 상대론적 입자운동과 전자기파, 운동전하의 전자기파 발생.(선수과목 503)
- PHY505 양자역학I (3학점) [기초공통]
- 이중성, 불확정성원리, Schrödinger방정식, 일차원 문제, 고유치 문제, 중심역장, Potential scattering, 행렬역학.
- PHY506 양자역학II (3학점) [기초공통]
- 정상적 섭동이론, 근사계산법, 각운동량, 동등입자, 원자와 분자, 복사론, Dirac방정식, 제2양자화.(선수과목 505)
- PHY508 실험물리학 (3학점) [기초공통]
- 방사선계칙, X선회절, 자기장측정, 진공기술, 분광실험, 자기공명.
- PHY509 현대물리특강 (3학점) [기초공통]
- 현대물리학의 특수 분야에 대한 강의.
- PHY510 물리학논문작성 (3학점) [기초공통]
-
물리학 연구논문 작성법에 대한 강의 및 실습.
[신설: 2016/03/01, 개설: 2016/09/01] - PHY552 상대론양자역학 (3학점) [전공]
- 상대론적 공변성, Klein-Gordon 및 Dirac 방정식, 양자전기역학, Lamb shift, 공변적 섭동이론. (선수과목 501, 503, 505)
- PHY603 고에너지물리특론 (3학점) [전공]
- 현행 고에너지 실험의 설명, 구체적 기구, 온라인시스템 검출기 특성.
- PHY604 입자물리학특론 (3학점) [전공]
- 기본입자, 기본상호작용, 강작용이론, 약작용이론, 양자전자기이론.
- PHY605 고급전산물리학 (3학점) [전공]
- 고급 수치해석 및 Mathmatica, Maple, Reduce 등을 활용한 대용량 문자식 연산기술의 소개.
- PHY606 핵및입자물리학특론I (3학점) [전공]
-
핵 물리학 및 입자 물리학의 실험 장치, 이론 모델, 최신 연구 주제.
[신설: 2016/03/01, 개설: 2020/09/01] - PHY607 핵및입자물리학특론II (3학점) [전공]
-
핵 물리학 및 입자 물리학의 실험 장치, 이론 모델, 최신 연구 주제.
[신설: 2016/03/01] - PHY609 입자물리학I (3학점) [전공]
- 입자와 물질과의 반응, 입자 검출기, 입자들의 상호작용, 고에너지 물리, 표준모형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610 입자물리학II (3학점) [전공]
- 보존법칙, 대칭성, 입자의 질량과 수명 분류, 경입자, 중간자, 중입자, 쿼크이론, SU(3)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615 일반상대론 (3학점) [전공]
- 등가원리, 일반상대성원리, 텐서해석, 장방정식과 그 해법, 일반상대론의 실험적 검증, 중력이론, 상대론적 우주, 통일장 이론.
- PHY616 핵구조론 (3학점) [전공]
- 핵 모형, 핵 평균 퍼텐셜 이론, 핵 마법수, 핵의 변형, 핵분열, 초중핵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617 핵물리학I (3학점) [전공]
- 핵의 크기, 핵 안정성, 베타 붕괴, 감마 붕괴, 알파 붕괴, 핵분열, 핵 모형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618 핵물리학II(3학점) [전공]
- 핵력, 핵반응, 핵합성, 중성자별, 방사선, 가속기 입문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619 핵분광학(3학점) [전공]
- 핵의 안정성, 질량 공식, 대칭 에너지, 핵 바닥 상태와 들뜸 상태의 양자수, 실험 결과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625 결정고체론 (3학점) [전공]
- 결정구조, 역격자, Stereogram, X-선 회석 실험과 이론, Laue패턴, Powder, Precision camera의 응용 (선수과목 671)
- PHY628 응집물질분광학 (3학점) [전공]
- NMR, NQR, EPR spectroscopy의 이론과 실험, Resonance line의 이동과 Broadening에 대한 이론 (선수과목 671)
- PHY631 양자광학I (3학점) [전공]
- 레이저 이론 및 실험.
- PHY632 양자광학II (3학점) [전공]
- 광의 양자물리적 취급, 비선형광학, 광산란이론(선수과목 635)
- PHY633 물성물리I (3학점) [전공]
- 응용물성, 특히 자성물질의 이론과 응용.
- PHY634 물성물리II (3학점) [전공]
- 비정질물질의 여러 특성.
- PHY635 응용광학I (3학점) [전공]
- 물리광학, 분광학, 광산란현상, 기하광학.
- PHY636 응용광학II (3학점) [전공]
- “라만” 산란, “불리루앙” 분광학, 고분해분광분석학, 초단펄스분광분석학(선수과목 631)
- PHY641 통계물리학I (3학점) [전공]
- 열역학법칙 및 응용, 기체운동론, Boltzmann이론, 수송현상, Ensemble Theory, 고전통계역학.
- PHY642 통계물리학II (3학점) [전공]
- 양자통계 및 Partition Function, Ideal Fermi and Bose gas, Phase transition and its applications(선수 과목 641)
- PHY645 추계이론I (3학점) [전공]
- 수학적인 개요, Random flights, Markoff's process, Langevin equation, Fokker-Planck equation(선수과목 641)
- PHY646 추계이론II (3학점) [전공]
- Probability after-effects, Colloid Statistics, Theory of coagulation, Sedimentation, Fluctuation 및 Stellar Dynamics 등(선수과목 641)
- PHY651 비선형동력학및혼돈I (3학점) [전공]
- 비선형미분방정식, Maps, 선형안정성분석, 끌개 및 밀개, 분기현상 및 normal form 이론, 혼돈현상, 혼돈으로의 경로, 프랙탈.
- PHY652 비선형동력학및혼돈II (3학점) [전공]
- 혼돈계에 대한 분석, functional renormalization 이론, 비선형시계열 분석, Hamiltonian계의 혼돈현상, KAM 이론 및 anomalous diffusion, 동기화현상 및 시/공간 혼돈.
- PHY653 비평형계의 불안정성 (3학점) [전공]
- 물리/화학/생물계의 다양한 비평형문양 형성원리(Faraday instability, Rayleigh-Bernard instability, Marangoni instability, Taylor-Coutte instability, Helmholtz instability, Turing instability, Excitable dynamics, Front instability, etc.).
- PHY661 생물물리학I (3학점) [전공]
- 다양한 생명현상에 대한 물리학적 분석, 생명체의 형태 형성, 신경세포 및 신경망의 전기/화학적 특성, 생체신호에 대한 통계 및 비선형동력학적 분석 및 모델링.
- PHY662 생물물리학 II (3학점) [전공]
-
분자구동장치, DNA 및 신경망-칩, confocal 및 multi-photon laser scanning microscopy, optical tweezer,
마이크로유체역학, 생물분자구조 및 folding, 유전자 그물망. - PHY671 응집물질물리학 I (3학점) [전공]
- 결정구조와 역격자, 결정결합, Phonons, 자유전자기체, 에너지 band, 반도체, 금속, Fermi 면, Polaron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672 응집물질물리학 II (3학점) [전공]
- 응집물질의 광학적 성질, 초전도성, 유전체와 강유전체, 상자성체와 강자성체, 자기공명, 비정질, 결정의 결합, 표면 및 계면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681 양자정보물리학I (3학점) [전공]
- 양자 컴퓨팅 및 양자정보처리는 무엇이며 그에 필요한 기본적인 양자 연산 및 구현 원리 등을 소개한다. 양자컴퓨터 및 양자정보처리장치의 구현에 필요한 기본 원리를 물리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본다.
- PHY682 양자정보물리학II (3학점) [전공]
- 양자 컴퓨터를 통해 고전 컴퓨터로 할 수 없는 일들을 알아보고, 양자 컴퓨터의 우수성(supremacy)의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소개한다. 양자 알고리즘, 양자 잡음 및 양자 오류정정코드 등을 통해 양자 컴퓨팅 및 양자 정보처리 원리에 관한 이해를 심화한다.
- PHY683 양자컴퓨터I (3학점) [전공]
- 양자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데 필요한 물리학 원리 및 공학적 기술, 극복할 과제 등을 소개한다. 또, 현재 실제 구현된 주요 양자 컴퓨터 아키텍처 4 가지 중 초전도 양자 컴퓨터, 이온트랩 양자 컴퓨터 등을 소개한다.
- PHY684 양자컴퓨터II (3학점) [전공]
- 양자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구현하는 데 필요한 물리학 원리 및 공학적 기술, 극복할 과제 등을 소개한다. 또, 현재 실제 구현된 주요 양자 컴퓨터 아키텍처 4 가지 중 초전도 광자 기반 양자 컴퓨터 및 양자점 기반 양자 컴퓨터 등을 소개한다.
- PHY685 양자통신및암호I (3학점) [전공]
- 먼저, 양자정보이론을 소개한다. 즉, 양자정보를 생성, 저장, 처리, 전송, 측정하는데 필요한 기초적인 자원이 무엇이며 그런 자원을 어떻게 정량화할 것인가를 기술한다.
- PHY686 양자통신및암호II (3학점) [전공]
- 양자정보이론을 양자 통신 및 양자 암호에 응용하는 방법 및 원리를 소개한다. 양자 통신의 최대 용량 및 보호, 양자 암호 이론 등을 소개한다.
- PHY687 양자측정및센싱I (3학점) [전공]
- 양자 측정 및 센싱의 기본 원리와 개념을 소개한다. 큐비트를 이용한 양자센싱의 대표적인 방법론들을 배우고 프로그램 실습을 통해 이해한다.
- PHY688 양자측정및센싱II (3학점) [전공]
- 양자 센싱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큐비트 플랫폼들과 이를 이용한 물리량 측정 방법을 소개한다.
- PHY701 양자장론I (3학점) [전공]
- Lorentz군, Klein-Gordon방정식, Dirac방정식, 제이양자화(선수과목 601)
- PHY702 양자장론II (3학점) [전공]
- 상호작용장, 산란이론, S-항렬, Feynman 도표, Renormalization 이론, Axiomatic Formulation (선수과목 701)
- PHY703 검출기특론 (3학점) [전공]
- 고에너지 물리학의 검출기 특성, 기능, 기본원리 및 응용.
- PHY704 양자장특론 (3학점) [전공]
- 게이지이론, 표준이론, 양자전자학 및 양자장이론의 특수과제.
- PHY705 입자물리학특론I (3학점) [전공]
-
입자물리학 연구에 적용되는 기본적 연구과 내용을 익히고 특정 연구 사례들을 분석한다.
이로써 입자 연구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 - PHY706 입자물리학특론II (3학점) [전공]
-
입자물리학 연구에 적용되는 심화된 연구과 내용을 익히고 특정 연구 사례들을 분석한다.
이로써 입자 연구에 있어서 독립적이고 창의적인 소양을 갖춘다. - PHY707 고에너지물리데이터분석 (3학점) [전공]
-
입자물리학 실험 데이터 분석에 기본이 되는 확률, 통계학, 데이터 분석을 통한 측정 및 오차 분석 방법, 최근의 머신 러닝 및
인공지능 기법 등의 이론을 학습하고 실제 데이터 분석의 적용 사례를 연구하고 고에너지 데이터에 실습한다. - PHY713 충돌이론 (3학점) [전공]
- 산란 및 충돌의 기초개념, 중심력장에서의 산란, 비상대론적 충돌, 탄성 및 비탄성충돌, 상대론적 충돌(선수과목 611)
- PHY714 중핵충돌물리학 (3학점) [전공]
-
중이온 충돌을 이용한 고온, 고밀도 핵물질의 생성 및 강입자의 성질 변화, 그리고 초기우주 물질과의 관계 등을
최근 실험결과를 중심으로 학습한다. - PHY715 강입자물리학 (3학점) [전공]
- 쿼크 모형, 강입자 생성 반응, 강입자 구조, 강입자 붕괴, 핵자-핵자 상호작용, 중양자, 별난 강입자
- PHY717 핵물리특론 (3학점) [전공]
- 최신 핵물리 연구 분야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718 핵물리실험특론 (3학점) [전공]
- 최신 핵물리 실험 연구 분야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725 저차원계의전자적수송물성론I (3학점) [전공]
- 메조스코픽 전자수송 영역의 소개, 수송 이론, 실험적 관측 기법에 대한 강의(권장 선수과목 505, 621)
- PHY728 나노물리학특론I (3학점) [전공]
-
나노 물리학의 측정방법, 실험 장치, 이론 모델, 최신 연구 주제.
[신설: 2016/03/01, 개설: 2018/03/01] - PHY729 나노물리학특론II (3학점) [전공]
-
나노 물리학의 측정방법, 실험 장치, 이론 모델, 최신 연구 주제.
[신설: 2016/03/01, 개설: 2018/09/01] - PHY731 응용물리특론I (3학점) [전공]
- 최근 발전된 물리학적 방법과 인접하고 있는 학문분야 및 일상생활에 응용하는 최신 이론 및 실험 결과에 대한 강의, 플라즈마 광도파, 진공박막, 이온빔, 응용물성 계측 등.
- PHY733 비선형광학I (3학점) [전공]
- 2차, 3차 비선형광학, Phase Conjugation, Stimulated Brillouin, Stimulated Raman Scattering 등.
- PHY734 비선형광학II (3학점) [전공]
- 비선형광학 I과 같음.
- PHY735 원자분광학I (3학점) [전공]
- 레이저 광선 등 전자기파를 이용한 원자의 분광학적 연구, 원자의 냉각 및 포획과 원자광학
- PHY736 원자분광학II (3학점) [전공]
- 원자분광학 I과 같음.
- PHY737 융합과학특론I (3학점) [전공]
- 융합적 과학 최신 연구 주제, 측정방법, 실험 장치, 이론 모델.
- PHY738 융합과학특론II (3학점) [전공]
-
융합적 과학 최신 연구 주제, 측정방법, 실험 장치, 이론 모델.
[신설: 2016/03/01, 개설: 2021/03/01] - PHY741 평형통계물리학특론I (3학점) [전공]
-
Brownian motion, Random walk, Liquid helium, Ising model solution, Phase transition, Critical phenomena
등을 다룬다.(선수과목 641) - PHY742 평형통계물리학특론II (3학점) [전공]
- 평형통계물리학특론 I과 같음.(선수과목 641)
- PHY743 비평형통계물리학특론I (3학점) [전공]
- 비평형통계물리학의 개요,Kinetic equation and Hydrodynamics, Transport coefficients 및 Dynamics of correlation 등.(선수과목 642)
- PHY744 비평형통계물리학특론II (3학점) [전공]
-
Ideal system 및 Interacting system의 dynamics and subdynamics, Fluctuation 및 correlation의 dynamics 등
(선수과목 743) - PHY745 통계물리특수연구I (3학점) [전공]
- 현재 통계물리의 각 분야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첨단과제들에 대한 논문을 강독.
- PHY746 통계물리특수연구II (3학점) [전공]
- 통계물리특수연구 I과 같음.
- PHY747 생물및통계물리학특론I (3학점) [전공]
-
생물물리학 및 통계물리학의 실험 장치, 이론 모델, 최신 연구 주제.
[신설: 2016/03/01] - PHY748 생물및통계물리학특론II (3학점) [전공]
-
생물물리학 및 통계물리학의 실험 장치, 이론 모델, 최신 연구 주제.
[신설: 2016/03/01] - PHY761 생물물리학특수연구I (3학점) [전공]
- 생물물리학 관련 중요 연구결과들에 대한 논문 강독 및 토론.
- PHY762 생물물리학특수연구II (3학점) [전공]
- 생물물리학 관련 중요 연구결과들에 대한 논문 강독 및 토론.
- PHY763 분자생물리특론I (3학점) [전공]
- 분자 생물 물리 분야의 최근 연구 경향과 성과에 대한 집중 연구.
- PHY764 분자생물리특론II (3학점) [전공]
- 분자 생물리 특론 I과 같음.
- PHY771 반도체광학특성 (3학점) [전공]
- 반도체의 Band 이론, Photoluminescence, Absorption, Raman등 광학적 실험, 이질 구조의 양자적 효과, 반도체 광학 소자 동작원리.(선수과목 621, 622)
- PHY772 반도체나노구조 (3학점) [전공]
-
Ⅲ-Ⅴ, Ⅱ-Ⅵ, 화합물 반도체, 반도체를 이용한 quantum wells, Superlattice 구조, 반도체 이질구조 양자현상, 반도체 소자.
(선수과목 621, 622) - PHY773 스핀트로닉스연구 (3학점) [전공]
- 자성체, 반도체, 광학 분야에서 전자의 스핀특성과 관련된 현상들에 대한 강의와 토론
- PHY781 응집물질물리학특론I (3학점) [전공]
- 응집물질물리학에 관한 특수분야의 기본소양을 갖춘다.
- PHY782 응집물질물리학특론II (3학점) [전공]
- 응집물질물리학에 관한 특수분야의 기본소양을 갖춘다.
- PHY783 고급응집물질물리학I (3학점) [전공]
- 응집물질물리학특론 I 및 II와 유사한 현상들을 다루나 더욱 높은 수준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최근의 문제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784 고급응집물질물리학II (3학점) [전공]
- 응집물질물리학특론 I 및 II와 유사한 현상들을 다루나 더욱 높은 수준의 이론을 기초로 하여 최근의 문제의 기본 소양을 갖춘다.
- PHY801 고에너지물리특수연구 (3학점) [전공]
- 고에너지 물리에서 진행중인 연구과제 및 학위논문 준비.
- PHY802 입자물리특수연구 (3학점) [전공]
- 입자물리에서 진행중인 연구 경향, 연구과제 및 학위논문 준비.
- PHY813 핵물리특수연구I (3학점) [전공]
- 핵물리 연구 동향, 연구과제 및 학위논문을 준비한다.
- PHY814 핵물리특수연구II (3학점) [전공]
- 핵물리 연구 동향, 연구과제 및 학위논문을 준비한다.
- PHY823 응집물질물리학특수연구I (3학점) [전공]
- 응집물질물리학에서 진행중인 연구 경향, 연구과제 및 학위논문을 준비한다.
- PHY824 응집물질물리학특수연구II (3학점) [전공]
- 응집물질물리학에서 진행중인 연구 경향, 연구과제 및 학위논문을 준비한다.
- PHY831 응용물리특수연구I (3학점) [전공]
- 물리학적 방법을 기타 인접학문 및 일상생활에 응용하는 문제에 대한 논문 강독.
- PHY832 물성물리특수연구 (3학점) [전공]
- 고체, 액체 및 기체들의 물성에 관한 최신 이론 및 실험적 결과에 대한 논문 강독.
- PHY841 양자광학특수연구I (3학점) [전공]
- 양자광학 분야에서 진행중인 연구경향, 연구과제 소개 및 학위논문 준비.
- PHY842 양자광학특수연구II (3학점) [전공]
- 양자광학특수연구 I과 같음.
- PHY843 나노광학특수연구I (3학점) [전공]
- 나노광학 분야에서 진행중인 연구과제 소개 및 학위논문 준비.
- PHY844 나노광학특수연구II (3학점) [전공]
- 나노광학특수연구 I과 같음.
- PHY845 원자물리학특수연구I (3학점) [전공]
-
원자의 구조에 대한 이론, 레이저를 이용한 원자구조의 분광학적 연구 및 관련 물리량의 정밀 측정에 관한 연구과제 소개 및
학위논문 준비. - PHY847 원자및광학특론I (3학점) [전공]
-
원자 물리학 및 광학의 실험 장치, 이론 모델, 최신 연구 주제.
[신설: 2016/03/01, 개설: 2019/03/01] - PHY848 원자및광학특론II (3학점) [전공]
-
원자 물리학 및 광학의 실험 장치, 이론 모델, 최신 연구 주제.
[신설: 2016/03/01, 개설: 2019/09/01] - PHY851 고급물리학특론I (3학점) [전공]
- 물리학 제분야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최신의 연구내용을 강독.
- PHY852 고급물리학특론II (3학점) [전공]
- 고급물리학특론 I과 같음.
- PHY853 고급물리학세미나I (3학점) [전공]
- 물리학 제분야에서 현재 진행중인 연구과제를 소개.
- PHY854 고급물리학세미나II (3학점) [전공]
- 고급물리학세미나 I과 같음.
- PHY861 비선형광학연구 (3학점) [전공]
- 비선형광학 분야에서 진행중인 연구 경향, 연구과제 소개 및 학위논문 준비
- PHY862 생물영상I (3학점) [전공]
- 공초점 현미경, 비선형 현미경, 위상차 현미경,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현미경,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등 생물 현상 및 질병의 관측에 사용되는 기본적인 광학 영상 기법들의 원리, 시스템 및 응용 소개.
- PHY863 생물영상II (3학점) [전공]
- 회절 한계를 넘을 수 있는 초고해상도 이미징 기술, 3차원 위상 현미경, 홀로그래픽 현미경, 광학 내 시경 및 X선 현미경 등 특수 목적 이미징 기법들의 원리 및 그 응용 소개.
- PHY881 양자정보특론I (3학점) [전공]
- 양자컴퓨팅/시뮬레이션, 양자센싱/측정, 양자통신/암호 등 세부전공별로 자기주도적으로 연구과제를 설계하고 연구과제의 적절성을 초기 검증하는 방법론 등을 소개하고, 세미나를 통해 연구설계 및 수행경험을 공유한다.
- PHY882 양자정보특론II (3학점) [전공]
- 양자컴퓨팅/시뮬레이션, 양자센싱/측정, 양자통신/암호 등 세부전공별로 자기주도적으로 연구과제를 설계하고 연구과제의 적절성을 초기 검증하는 방법론 등을 소개하고, 세미나를 통해 연구설계 및 수행경험을 공유한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