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설과목
- PHYS151 일반물리학및연습Ⅰ(3학점) [교양선택(기초과학)]
-
대학에서 과학 및 공학을 공부하는 데에 필요한 물리학의 기본지식과 이에 근거한 방법론 및 과학적 사고방식을 가르치는
과목이다. 주요 내용은 물리량을 기술하는 방법, Newton 역학, 파동현상, 열역학이며, 미적분을 이용한 수준이다.
3시간의 강의가 있고, 1시간의 연습시간에 과제물에 대한 문제풀이를 한다. 매 학기 세 번의 시험을 본다. - PHYS152 일반물리학및연습Ⅱ (3학점) [교양선택(기초과학)]
-
대학에서 과학 및 공학을 공부하는 데에 필요한 물리학의 기본지식과 이에 근거한 방법론 및 과학적 사고방식을 가르치는
과목이다. 주요 내용은 전자기학, 광학 및 현대물리학이며, 미적분을 이용한 수준이다.
3시간의 강의가 있고, 1시간의 연습시간에 과제물에 대한 문제풀이를 한다. 매 학기 세 번의 시험을 본다. - PHYS161 일반물리학실험Ⅰ(1학점) [교양선택(기초과학)]
- 일반물리학및연습 I 에서 강의 및 문제풀이로 배우는 내용을 실험을 통해서 배우는 과목이다. 주요 내용은 date분석법, Newton 역학, 파동현상, 열역학에 관한 실험이다. 한번 3시간 실험으로 진행되며, 2인 1조를 원칙으로 하고, 8개조가 한 반을 구성하여 조교 및 교수의 지도를 받는다. 한 학기동안 9개의 실험을 한다.
- PHYS162 일반물리학실험Ⅱ (1학점) [교양선택(기초과학)]
- 일반물리학및연습 II 에서 강의 및 문제풀이로 배우는 내용을 실험을 통해서 배우는 과목이다. 주요 내용은 date분석법, Newton 역학, 파동현상, 열역학에 관한 실험이다. 한번 3시간 실험으로 진행되며, 2인 1조를 원칙으로 하고, 8개조가 한 반을 구성하여 조교 및 교수의 지도를 받는다. 한 학기동안 9개의 실험을 한다.
- PHYS203 전자물리학및실험 (3학점) [전공필수]
-
물리학에 필요한 전자공학의 기초이론을 배우고 기본 전자회로에 관한 실험 실습을 행한다.
이를 통하여 실험에 필요한 전자, 전기회로의 제작 능력과 전자, 전기계측 기기의 사용방법을 배운다. - PHYS204 기초물리학실험Ⅰ(2학점) [전공필수]
-
기본적인 물리적 성질의 측정 및 분석을 통하여 물리학적 기본 개념을 확인하고 원리의 이해를 돕는다.
주로 역학, 기초 전자 기학, 광학, 현대물리학 분야의 물리현상의 이해를 위한 실험장치의 설치방법을 배우고
결과분석 및 처리와 과학적인 보고서의 작성법을 익히도록 한다. - PHYS220 고전역학 (3학점) [전공필수]
-
일반물리에서 배운 기초역학보다 더 해석적인 방법으로 고전적 입자계의 운동을 기술한다.
질점의 운동과 보존법칙, 선형 및 비선형 진동자, 충돌, 랑그랑지 및 해밀턴 역학, 중심력장의 문제, 비관성-기준계, 강체운동,
결합진동자 등 뉴턴역학을 다룬다. - PHYS224 전자기학Ⅰ(3학점) [전공필수]
- 맥스웰의 전자기학 이론 중 정 전기, 정 자기학 및 매질 내에서의 전기, 자기 현상을 다루고 이에 필요한 벡터 해석학 및 특수함수를 가르친다. 또한 전자기학의 기본원리의 현대 첨단기술에의 응용을 소개한다.
- PHYS230 수리물리학Ⅰ (3학점) [전공필수]
- 물리학과 전공과목인 고전역학, 전자기학, 양자역학, 통계물리학 등의 과목에 필요한 수학적인 방법을 배우고 이를 적용한다. 강의 내용은 고급 미적분학, 수열, 행렬 및 행렬식, 복소함수론, 미분방정식 등이다.
- PHYS303 기초물리학실험Ⅱ (2학점) [전공필수]
-
기본적인 물리적 성질의 측정 및 분석을 통하여 물리학적 기본 개념을 확인하고 원리의 이해를 돕는다.
주로 역학, 기초 전자 기학, 광학, 현대물리학 분야의 물리현상의 이해를 위한 실험장치의 설치방법을 배우고
결과분석 및 처리와 과학적인 보고서의 작성법을 익히도록 한다. - PHYS331 전자기학Ⅱ (3학점) [전공필수]
- 맥스웰 방정식을 유도하고 이를 토대로 전자기파 발생, 전달, 산란 및 매질과의 상호작용과 같은 전자기파 이론에 대해 배운다. 또한 전자기파의 현대 첨단기술에의 응용을 소개한다.
- PHYS333 수리물리학Ⅱ (3학점) [전공선택]
- 물리학과 전공과목인 고전역학, 전자기학, 양자역학, 통계물리학 등의 과목에 필요한 수학적인 방법을 배우고 이를 적용한다. 강의 내용은 복소함수, 복소 해석, 특수 함수 등이다.
- PHYS344 통계물리학Ⅰ(3학점) [전공필수]
-
통계적인 접근을 통한 거시 현상에 대한 물리학적 이해를 다룬다. 이를 위해 고전열역학의 내용을 개괄하고, 통계역학의 기본
개념을 익힌다. 또한 거시 현상의 통계적 접근을 위한 수학적인 도구를 습득한다. - PHYS361 양자역학Ⅰ(3학점) [전공필수]
-
현대물리학의 근간인 양자물리의 기본개념과 응용에 대해서 배운다. 초기 양자론, 슈뢰딩거방정식과 파동함수, 연산자방법,
1차원 및 3차원 문제해법, 회전운동량의 양자화를 공부한다. - PHYS370 물리학탐구Ⅰ(3학점) [전공선택]
- 강의시간에 배운 물리지식을 세부 전공분야의 이론과 실험연구의 정답이 없는 열린 문제에 적용해서 연구해 봄으로써, 실제 연구를 경험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기른다. 세부 전공분야의 한 연구실에서 한 가지 연구주제에 관해 한 학기 동안 연구실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연구를 수행한다. 연구결과를 전문학술지 논문 형식의 보고서로 정리하고, 전체 발표회에서 발표한다.
- PHYS362 양자역학Ⅱ (3학점) [전공필수]
-
현대물리학의 근간인 양자물리의 기본개념과 응용에 대해서 배운다. 양자이론의 준고전적 근사, 대칭과 보존법칙,
회전량의 합성, 결합상태의 섭동이론 및 산란현상을 공부한다. - PHYS391 물리교과교육론 (3학점) [교직비사대]
- 교직과정 이수자를 위해서 체계적인 중등 물리 교육이 이루어지도록 중등학교의 물리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다.
- PHYS394 물리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(3학점) [교직비사대]
- 중등학교 물리 교사 지망자를 위해서 일반물리학 수준의 강의 방법과 교재 이용법을 소개한다.
- PHYS433 통계물리학Ⅱ (3학점) [전공선택]
-
평형통계역학을 본격적으로 다룬다. 고전/양자통계역학의 기본적인 내용을 개괄하고 이를 응용해 상전이 현상 등을
통계역학적으로 이해한다. - PHYS461 전산물리학및실습 (3학점) [전공선택]
- 물리학 및 자연과학 연구에 필수적인 컴퓨터 기반 계산기법을 소개한다. 학생들이 컴퓨터 전산 시뮬레이션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, 다양한 계산 플랫폼과 수치 해석 방법들을 강의한다. 또한,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기본원리와 이를 물리 문제해결에 적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.
- PHYS462 원자물리학 (3학점) [전공선택]
- 한 개 혹은 몇 개의 원자의 성질을 탐구함으로써, 빛과 물질 및 물질과 물질의 상호작용에 대한 근본원리를 이해한다.
- PHYS463 양자정보물리학 (3학점) [전공선택]
-
양자정보 및 양자계산에 관한 기본개념과 원리를 소개한다. 양자역학과 이와 밀접하게 연관된 수학 분야(선형대수학,
복소함수론 등)의 표준교육과정을 마친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, 해당 분야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물리학, 수학,
컴퓨터과학의 배경지식과 학습방법을 제공한다.
이 과목의 최종 목적은 양자정보 및 양자계산에 관한 대학원 수준의 심화학습이나 연구를 진행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이다. - PHYS466 인공지능물리학 (3학점) [전공선택]
-
물리학 핵심과목을 대부분 수강한 4학년생을 대상으로 하는 물리학과 학생을 위해 특화된 인공지능 과목이다.
인공지능의 물리학적 기반에 대해 소개하고, 물리학 연구를 위한 다양한 인공지능 기법의 이해와 활용 방법에 대해 학습한다. - PHYS468 우주론 (3학점) [전공선택]
-
우주의 생성 및 현재까지의 진화 과정 및 앞으로의 진화에 대한 물리학적 접근 및 우주의 전체 에너지에 대한 물리학적 연구에 대한 학문인 우주론에 대한 기본 내용을 다룬다. 우주배경복사, 암흑물질, 암흑에너지가 우주의 진화에 있어서
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본다. - PHYS470 물리학탐구Ⅱ (3학점) [전공선택]
- 강의시간에 배운 물리지식을 세부 전공분야의 이론과 실험연구의 정답이 없는 열린 문제에 적용해서 연구해 봄으로써, 실제 연구를 경험하고 문제해결 능력을 기른다. 세부 전공분야의 한 연구실에서 한 가지 연구주제에 관해 한 학기 동안 연구실 지도교수의 지도를 받아 연구를 수행한다. 연구결과를 전문학술지 논문 형식의 보고서로 정리하고, 전체 발표회에서 발표한다.
- PHYS481 광학 (3학점) [전공선택]
-
빛의 진행과 반사, 굴절 등과 관련된 기하광학적 내용과 함께, 파동현상에 대한 일반론에서 출발해서 회절, 간섭 등 빛의 파동적 특성에 대해서 공부한다. 이와 함께 편광, 후리에 광학, 그리고 빛의 양자적 특성 등에 대해서 배우며, 레이저를 비롯한
광학 장비들의 원리에 대해서 공부한다. - PHYS482 고체물리학 (3학점) [전공선택]
-
결정 구조와 격자진동, 에너지띠 구조 등 응집물질의 공통적인 특성을 공부한다.
아울러 금속, 반도체, 절연체 등의 물리적 특성을 이해한다. - PHYS491 생물물리학 (3학점) [전공선택]
- 생물계 현상들에 대한 물리학적 이해를 다루며, 생물물리학의 배경, 물리학에 바탕을 둔 여러 첨단의 실험적 접근방법 및 기술, 그리고 생체계 연구와 관련된 현대 물리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을 학습한다.
- PHYS492 핵및입자물리학 (3학점) [전공선택]
- 핵의 구조와 핵력, 핵 및 입자의 붕괴, 대칭성과 보존법칙 등을 다룬다. 아울러 소립자의 기본 상호작용에 대한 기본개념과 입자검출기 및 가속기 등을 포함한다.